Off-page Connector로 MC8031에 리셋 회로 연결하기
Off-page Connector로 MC8031에 리셋 회로 연결하기
Off-page Connector의 개념을 정리하면서 지난 글에서 작성해봤던 MC8031회로에서 리셋 회로만을 분리해서 다른 회로도면으로 옮기고 그것들을 서로 Off-page Connector로 연결해본다.
회로도 설계 부품의 입력과 배선 및 Netlist 작성
위 글에서와 같이 지금은 하나의 회로도면에 '리셋'과 '8031 회로'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데 아래 그림에서 표시한 부분만 분리해서 연결해보자.
오프-페이지 커넥터는 같은 회로도 폴더에 있는 다른 회로도면과 연결할 때 사용되는데 이때 연결 대상은 계층구조 포트여도 되고 다른 Off-page Connect여도 되지만 그것들의 이름은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.
우선 바로 앞글에서 계층구조 설계를 할 때 작성했던 하위 MC8031 폴더에 PAGE2를 생성하고 리셋 회로를 그쪽으로 옮긴다.
MC8031 폴더내에는 이미 계층구조 설계를 할 때 포트가 포함되어서 자동 생성된 PAGE1이 존재한다. 여기서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폴더를 오른쪽 클릭해서 [New Page] 메뉴를 선택한 후 그림처럼 창이 열리면 PAGE Name을 설정하고 확인하면 새로운 페이지가 생성되는데 PAGE2에 리셋 회로를 다음과 같이 옮겨온다.
이렇게 같은 폴더에 있으면서 서로 다른 회로도면에 있는 녀석들을 연결할 때 Off-page Connect를 사용하는 것이며 그것들의 이름은 동일해야 한다. 우선 리셋 회로에 심볼을 입력해보자.
툴바에서 오프-페이지 커넥터 메뉴를 선택하면 위 그림과 같은 창이 열리는데 이것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. OFFPAGELEFT-L / R 이 그것들인데 이 녀석을 기준으로 왼쪽에 있는 것을 연결할 때는 L을 오른쪽에 연결할 때는 R을 선택하면 된다.
위 예제의 경우 회로도면에 음영으로 표시한 부분에 커넥터가 연결 되어야 할 것이고 그 연결 대상은 왼쪽에 있는 걸 알 수 있다. 때문에 L을 선택하면 되고 다음과 같이 연결하고 이름을 설정해주면 된다.
다음은 원래 이 녀석이 있던 자리에 커넥터 연결을 해주기 위해서 회로도면을 다시 살펴보자.
커넥터가 들어갈 자리를 녹색으로 표시해봤는데 이번에는 그 대상이 오른쪽에 있는 걸 알 수 있다. 때문에 OFFPAGELEFT-R을 선택해서 입력하면 될 것이다.
언제 L과 R을 선택해서 입력해야 하는지 대충 개념이 잡힌다. 그리고 그 모양은 이름을 기준으로 [<<]가 오른쪽에 있는지 왼쪽에 있는지로 R과 L을 구분하면 될듯하다.
이렇게 Off-page Connector를 이용하면 복잡한 회로도면을 그 기능에 따라서 서로 분리해서 깔끔하게 정리를 할 수 있을것이다.